★연말정산 기간 일정, 환급금 조회 방법 및 올해부터 달라지는 것은?
1월은 뭐니 뭐니 해도 연말정산을 빼놓을 수 없죠.
직장인들의 한 해 소득과 지출 및 세금까지 모두
결산하여 더 많이 냈다면 당연히 돌려받아야죠.
단 한해동안 지출과 공제 금액이 적었다면
아쉽게도 세금을 다시 걷어가는 추가 징수를
해야겠죠;; ㅠㅠ.
이렇듯 1월 중순부터는 연말정산 준비로
인해서 많이들 분주하실 텐데요.
올해부터 달라지는 몇 가지와 연말정산 기간
및 환급금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단의 보도참고자료의
연말정산 서비스 제공 일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지난해와 달라진 것은 공인인증서로만 인증하여
로그인이 가능했다면 올해부터는 간소화 서비스가
추가되어 간편 인증 4종이 추가 도입되었습니다.
또한 비회원의 경우에도 회원가입 없이
휴대전화, 신용카드로 본인인증이 가능합니다.
근로자가 해야 하는 것은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해서 자료를 내려받아야 합니다.
간소화 자료 확인 및 PDF로 내려받기는
23.01.15~23.02.15일까지 가능합니다.
1월 15일에 홈택스 사이트에서 간소화
서비스가 열리면 근로자는 간소화 자료 소득과
세액 공제 증명자료를 확인 내려받기 가능합니다.
단! 초반에는 많은 분들이 확인을 하기 위해서
대기시간이 있을 수 있다는 점 참고해 주세요.
또한 공제 신고서 제출은 23.02.28일까지
완료해 주시면 됩니다.
간소화 자료를 PDF파일로 내려받거나
출력하여 공제 서류를 회사의 연말정산
담당자에게 제출하면 되는데요.
부양가족을 추가하였는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적공제이기 때문에 누락된 가족이
없는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부양가족 추가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하단으로 진입하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연말정산 PDF자료 내려받기
출력하는 방법 알아보기!
회사에 자료를 제출하기 위해서는
연말정산 자료를 확인 후 PDF파일로
내려받거나 프린트로 출력해야 하는데요.
전체 월을 선택하신 후에 소득 및 세액공제
자료 금액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하단의 이미지와 같이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액을 다 확인하셨다면한 번에 내려받기나
한번에 인쇄하기를 클릭하여 자료를 손쉽게
제공받으시면 됩니다.
로그인부터 자료를 제공받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은
하단의 이미지를 통해서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내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환급은 받을 수 있을까?
궁금하시죠? 예상세액 계산은 정확한 금액은 아닙니다.
내가 얼마나 추징금을 낼 것인지 아니면 내가 받을
환급금은 얼마인지 대략적으로 알고 계시면 됩니다.
방법은 하단의 예상세액 계산을 눌러주세요.
모든 항목을 체크하신 후 예상세액 계산을
눌러주세요.
사용금액이 잘 입력되었는지 확인하시고,
반영하기를 눌러줍니다.
급여 및 예상세액의 총 급여, 기납부세액의
정보도 정확하게 넣어주세요.
다 입력하셨다면 계산하기를 클릭하여
소득공제 환급금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13월의 월급인 연말정산 기간부터
자료 내려받기 및 출력하는 방법 그리고
환급금 조회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공제율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직장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용카드
▶ 신용카드는 2022년 7월부터 12월까지
지출한 대중교통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기존 40%로 적용되었던 공제율이 80%로
상향되었습니다.
▶ 의료비는 기존의 20%인 난임시술비 공제율이
30%로 상향되었고, 기존 15%였던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공제율이 20%로 상향되었습니다.
▶ 기부금은 한 해 동안 1천만 원 이하 금액은 20%이고,
1천만원 초과 금액은 35%의 세액공제율이 적용됩니다.
▶ 월세는 총 급여액 7천만 원 이하 무주택 근로자가
지출하는 월세에 대한 세액공제율이 10, 15%에서
12, 17%로 상향되었습니다.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은 무주택 세대주가
주택을 임차하기 위해서 차임 한 자금의 공제 한도가
기존 300만 원에서 40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연말정산 로그인부터 인증까지 많은 것들이
바뀌었는데요. 참고로 노조비도 기부금에
포함된다는 사실을 마지막으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조금이라도 신경 써야 더 받을 수
있으니 잊지 말고 모든 정보를 다 기입합시다.
아무쪼록 13월의 월급 많이 더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벅스 기프티콘, 상품권, e카드 현금화 & 환불 방법(이렇게 하세요) (0) | 2023.01.17 |
---|---|
설연휴 귀성길 정체시간 가장 막히는 시간대는? 토피스로 확인! (0) | 2023.01.16 |
카카오톡 GS25 모바일 상품권 잔액 조회 및 환불 방법 (0) | 2023.01.14 |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취득신고서 온라인 작성 및 등록방법 (0) | 2023.01.13 |
스타벅스 상품권 및 기프트카드 등록 및 사용방법! 나만 몰랐네; (0) | 2023.01.12 |
댓글